맨위로가기

벨기에 2부 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기에 2부 리그는 1909년 프로모션이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어 여러 차례 명칭과 리그 시스템이 변경되었다. 2015-16 시즌까지 운영되었으며, 2016년부터는 벨기에 1부 B 리그로 개편되었다. 리그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정규 시즌 우승팀은 1부 리그로 직행했다. 2015-16 시즌에는 18개 팀이 참가했으며, 승점, 승리 횟수, 골 득실차 등을 기준으로 순위를 결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축구 리그 - 챌린저 프로 리그
    챌린저 프로 리그는 벨기에 2부 축구 리그 시스템으로, 2016년 창설되어 프로시머스 리그로도 불렸으며, U-23 팀 합류와 함께 12개 팀으로 운영되며 상위 팀은 1부 리그 A로 승격, 하위 팀은 1부 리그 아마추어로 강등된다.
  • 2016년 해체된 스포츠 리그 - Bj 리그
    bj 리그는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운영된 일본의 프로 농구 리그로, 2004년 니가타 알비렉스 BB와 사이타마 브롱코스의 일본 농구 협회 탈퇴를 계기로 창설되어 2015-16 시즌에는 24개 팀으로 확장되었으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리그 운영에 어려움을 겪다가 B.리그로 통합되면서 11시즌 만에 막을 내렸고, 리그 운영 기간 동안 오사카 에베사, 도쿄 아파치, 하마마츠 히가시미카와 피닉스, 류큐 골든 킹스, 요코하마 B-코르세어스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다양한 국제 교류 및 사회 공헌 활동을 통해 일본 농구 발전에 기여했다.
  • 2016년 해체된 스포츠 리그 - 유나이티드 풋볼 리그 (필리핀)
    2009년 필리피노 프리미어 리그 폐지 후 출범한 유나이티드 풋볼 리그(UFL)는 필리핀의 세미프로 축구 리그로, LBC 익스프레스 후원을 받아 'LBC 유나이티드 풋볼 리그'로 불리기도 했으며, 2016년을 마지막으로 폐지 후 필리핀 풋볼 리그(PFL)로 개편되었다.
  • 1909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리가 I
    리가 I은 1909년에 시작되어 2006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루마니아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6개 팀이 정규 시즌과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팀을 결정하며, FCSB가 최다 우승 기록을, CFR 클루지가 최근 5년간 리그를 지배하고 있다.
  • 1909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내셔널 하키 협회
    내셔널 하키 협회는 1909년부터 1917년까지 존속한 캐나다의 프로 아이스하키 리그로, 동부 캐나다 하키 협회 분열 후 창립되어 스탠리 컵을 놓고 경쟁하며 혁신적인 변화를 시도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과 내부 갈등으로 해체되었고, 현재 NHL의 기원이 되었다.
벨기에 2부 리그
기본 정보
국가벨기에
대륙UEFA
창립 연도1909년
해체 연도2017년
참가 팀 수 (2015-16 시즌)17팀
승격 리그벨기에 프로리그
강등 리그벨기에 서드 디비전
리그 등급2
국내 컵 대회벨기에 컵
최근 우승팀RWS 브뤼셀
최근 우승 시즌2015-16
웹사이트공식 홈페이지
후신 리그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B

2. 역사

벨기에 2부 리그는 1905년에 설립되어 2016년에 폐지되었다.[1] 정식 명칭은 '''프록시무스 프로 리그 B'''였다. 8개 클럽이 참가했으며, 시즌은 8월부터 다음 해 5월까지였다. 선수 이적 기간은 1월과 7~8월이었다.

2. 1. 리그의 변천

벨기에 2부 리그는 1909년에 창설되었으며 당시에는 '''프로모션'''(bevorderingnl)이라고 불렸다. 1923년부터는 프로모션 A와 프로모션 B, 두 개의 리그로 운영되었다. 1926년에는 14개 클럽으로 구성된 단일 리그로 변경되었고, '''1부 리그'''로 불렸다. 1930-31 시즌 이후 1부 리그는 다시 각각 14개 클럽으로 구성된 두 개의 리그로 나뉘었다. 매년 각 리그의 하위 두 팀은 2부 리그로 강등되었고, 상위 두 클럽은 프리미어 디비전으로 승격되었다. 1952년에는 16개 팀으로 구성된 단일 리그로 개편되며 2부 리그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상위 두 클럽이 1부 리그로 승격되었고, 1974년부터는 2위 팀의 승격을 위한 플레이오프가 도입되었다. 1994년에는 참가 클럽 수가 18개로 늘어났다. 1993-94 시즌부터 승리 시 3점을 부여하는 규칙이 적용되었다. 2008-09 시즌과 2009-10 시즌에는 나뮈르-겔 사건(두 팀 모두 2부 리그 진출 권리 주장)으로 인해 19개 팀이 참가하기도 했다. 2015년 6월, 벨기에 축구 협회는 상위 3개 리그 개편안을 승인하여 2016년부터 2부 리그는 ''벨기에 1부 B 리그''로 변경되었다. 벨기에 2부 리그는 2015–16 시즌을 끝으로 폐지되었다.[1]

기간리그 명칭
1905-1926프로모시옹(Promotion)
1926-1952프르미에르 디비지옹(Première Division)
1952-2008두지엠 디비지옹(Deuxième Division)
2008-2010EXQI 리그(EXQI League)
2010-2012두지엠 디비지옹(Deuxième Division)
2012-2015벨가콤 리그(Belgacom League)
2015-2016프록시무스 리그(Proximus League)


2. 2. 명칭 변화

벨기에 2부 리그는 1909년에 창설되어 '''프로모션'''(bevorderingnl)이라고 불렸다.[1] 1926년 '''1부 리그'''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52년에는 '''2부 리그'''로 다시 변경되었다.[1] 이후 스폰서에 따라 리그 명칭이 변경되었다.[1]

기간명칭
1905-1926프로모시옹(Promotion)[1]
1926-1952프르미에르 디비지옹(Première Division)[1]
1952-2008두지엠 디비지옹(Deuxième Division)[1]
2008-2010EXQI 리그(EXQI League)[1]
2010-2012두지엠 디비지옹(Deuxième Division)[1]
2012-2015벨가콤 리그(Belgacom League)[1]
2015-2016프록시무스 리그(Proximus League)[1]


3. 리그 진행 방식 (2015-16 시즌 기준)

2015-16 시즌 벨기에 2부 리그는 18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팀당 34경기를 치렀다. 정규 시즌 최종 우승팀은 1부 리그로 직행했다.[1]

정규 시즌은 3개의 Period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Period별 우승팀을 선정했다. 각 Period가 시작할 때는 이전 Period의 기록은 초기화되었다.

기간경기
1 Period1라운드부터 10라운드까지
2 Period11라운드부터 22라운드까지
3 Period23라운드부터 34라운드까지



각 Period 우승팀 3팀과 1부 리그 Relegation Playoff 승자, 총 4팀이 최종 승격 라운드를 진행했다. Period 우승자와 정규 시즌 최종 우승자가 중복될 때에는 최종 순위 결과가 높은 팀에게 승격 라운드 진출 기회를 부여했다.[1]

2016-17 시즌 리그 시스템 변경으로 인해, 2015-16 시즌은 챔피언이 승격되고 9개 팀이 3부 리그로 강등되었으며, 3부 리그에서는 승격 팀이 없는 과도기적 시즌이었다.[1]

3. 1. 정규 시즌

벨기에 2부 리그는 18개 팀이 참가하여 8월부터 다음 해 5월까지 진행되며, 각 팀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총 34경기를 치른다. 정규 시즌은 3개의 기간(Period)으로 나뉘며 각 기간별 우승팀을 선정한다.

기간경기
1 Period1라운드부터 10라운드까지
2 Period11라운드부터 22라운드까지
3 Period23라운드부터 34라운드까지



각 기간이 시작될 때는 이전 기간의 기록이 초기화된다. 정규 시즌 최종 우승팀은 1부 리그로 자동 승격된다.

각 기간별 우승팀 3팀과 1부 리그 15위 팀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승격팀을 결정한다. 만약 정규 시즌 챔피언이 하나 이상의 기간에서 우승하거나, 다른 팀이 여러 기간에서 우승했을 경우, 전체 순위에서 가장 높은 순위에 있는 팀들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정규 시즌 및 각 기간별 순위는 다음 기준에 따라 결정된다.

# 승점

# 승리 횟수

# 골 득실차

# 중립 구장에서의 플레이오프 (필요시 연장전과 승부차기 포함)

2015-16 시즌은 2016-17 시즌 리그 시스템 변경으로 인해 과도기적 시즌으로 운영되었다. 해당 시즌 챔피언은 승격되었고, 9개 팀이 3부 리그로 강등되었으며, 3부 리그에서는 승격 팀이 없었다.[1]

3. 2. 승격 플레이오프

2015-16 시즌까지 벨기에 2부 리그는 정규 시즌 최종 우승팀이 1부 리그로 자동 승격되는 시스템이었다. 1부 리그 강등 플레이오프 승리팀과 별도로 3개의 기간별 우승팀, 총 4팀은 승격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 기간별 우승팀 선정:
  • 1 Period (1 ~ 10라운드)
  • 2 Period (11 ~ 22라운드)
  • 3 Period (23 ~ 34라운드)
  • 각 Period 시작 시 이전 기록은 초기화됨.


정규 시즌 최종 우승과 Period 우승을 동시에 달성하는 등 중복될 경우에는, 정규 시즌 최종 순위가 높은 팀에게 승격 플레이오프 진출권이 주어졌다. 승격 플레이오프는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여기서 우승한 팀이 1부 리그로 승격했다.

플레이오프 순위는 승점, 승리 횟수, 골득실을 제외한 순위 선정방식을 따랐다. 또한, 프로 라이선스가 있어야만 1부 리그에서 경기할 수 있었다. 라이선스가 없는 경우, 정규 시즌 순위에서 다음으로 높은 팀이 기회를 얻었다. 자동 승격의 경우, 상위 3개 클럽 안에 들어야 했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팀이 없으면 1부 리그 팀 수가 감소했다.

2016-17 시즌부터 리그 시스템이 변경됨에 따라, 2015-16 시즌은 챔피언만 승격되고 9개 팀이 3부 리그로 강등되는 과도기적 시즌이었다.

3. 3. 순위 결정 방식

벨기에 2부 리그(2015-16 시즌까지)의 순위 결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정규 시즌과 3개의 기간별 순위는 다음 기준에 따라 결정되었다.[1]

  • 승점
  • 승리 횟수
  • 골 득실차
  • 중립 구장에서의 플레이오프 (필요시 연장전과 승부차기 포함)


플레이오프 순위는 골 득실차를 제외하고 위와 동일한 기준으로 결정되었다.[1]

1부 리그에서 경기하기 위해서는 프로 라이선스가 필요하며, 라이선스가 없을 경우, 전체 정규 시즌 순위에서 다음으로 높은 팀으로 대체되었다. 자동 승격(플레이오프와 반대)의 경우, 상위 3개 클럽 안에 들어야 했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팀이 없을 경우, 1부 리그의 팀 수가 감소했다.[1]

4. 벨기에 축구의 외국인 선수

벨기에 축구 리그에는 국적에 따른 선수 보유 한도 제한이 없다. 2013-14 시즌을 기준으로, 2부 리그에는 총 514명의 선수 중 163명(32.7%)이 외국인 선수였으며, 이들의 출신 국가는 43개국에 달했다.[1] 1부 리그인 벨기에 프로 리그에서는 2012-13 시즌에 등록된 외국인 선수(217명)가 내국인 선수(216명)를 처음으로 넘어섰고, 2013-14 시즌에는 총 451명의 선수 중 225명(49.8%)이 63개국 출신의 외국인 선수였다.[1]

벨기에에서 외국인 선수들은 프로 운동선수 비자를 받아 B외국인 신분증을 통해 합법적으로 장기 체류가 가능하다.[1]

5. 역대 우승팀 (최근 5시즌)

시즌우승팀준우승팀승격 플레이오프 우승팀
2011–12샤를루아바슬란트-베베런바슬란트-베베런
2012–13오스텐더무스크롱-페뤼웰즈세르클레 브뤼헤
2013–14베스터로오이펜무스크롱-페뤼웰즈
2014–15신트트라위던롬멜 유나이티드OH 루벤
2015–16WS 브뤼셀오이펜플레이오프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